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Project

(4)
🌍 SSH Tunneling 📣 본문은 2021년 10월 17일 작성한 글입니다. 개요 VPN을 통해서만 접속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로컬에서 접근하기 위해 ssh tunneling을 이용한 port forwarding 방법을 찾아보게 되었다. SSH의 정의부터 Tunneling 방법, 추가로 Pycharm tunneling 설정 방법도 덧붙여 설명해본다. SSH(Secure Shell)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여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 혹은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기존의 rsh, rlogin, telnet 등을 대체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강력한 인증 방법 및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는 22번 포트를 사용한다. 우리는 다음 명령어를 통해 ..
📦 AWS ELB와 ACM로 https 환경 구성하기 📣 본문은 2021년 12월 11일 작성한 글입니다. 개요 단일 서버로만 구성된 프로젝트에는 Let’s Encrypt 를 이용해 SSL 인증서를 발급 및 적용해왔는데, 이번 프로젝트에는 AWS 환경에서 ELB 를 연결해서 Certificate Manager 인증서로 https 환경을 구성해보기로 했다. 로드 밸런서 생성 AWS EC2 > 로드 밸런싱 > 로드밸런서에서 로드 밸런서 생성을 클릭한다. 로드밸런서 타입 선택 화면이 보이면 좌측의 Application Load Balancer를 선택한다. 로드밸런서 이름, VPC, 네트워크 매핑 등 기본 설정을 해준다. 리스너와 라우팅 설정 부분이 중요한데, 리스너를 추가하려면 설정된 경로(프로토콜, 포트)로 요청이 들어왔을 때 리스너가 포워딩해 줄 타겟 그룹을..
🐱 github actions를 활용한 테스트 자동화 프로세스 도입기 📣 본문은 2022년 2월 6일 작성한 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팀에 테스트 자동화 프로세스를 추천 및 도입하고 github acitons를 활용해 환경을 구성해 본 과정을 공유하려 한다. 개요 현재 팀에 합류한 지는 4개월 정도 되었다. 나는 팀에서 뽑은 첫 백엔드 개발자였고, 기존에는 부문장님 한 분이서 백엔드 개발을 모두 담당하고 계셨다. 개발 팀원이 1명에서 2명이 되는 건 단순히 숫자가 늘어나는 것 뿐만 아니라 협업이 불필요했던 그동안의 개발 프로세스와 문화를 모두 통째로 들어내야하는 혁명이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입사 초반에는 신규 입사자를 위한 README 작성부터 시작해 로컬 환경 셋팅 방법, git 브랜치 전략 수립 등 개발하기 좋은 환경 만들기!를 주도적으로 진행했다. 내가 고생..
🤖 간단한 Slack Bot 만들어 배포해보기 📣 본문은 2019년 5월 4일 작성한 글입니다. 매일 점심, 저녁 시간에 메뉴를 고르는 것도 일이다. 게다가 나와 같은 선택 장애(?)를 앓고 계신 분들은 더더욱이다. 차라리 누군가가 “오늘은 이거 어때?” 하며 말해주는 게 더 편할 것 같다.. 그래서 지역 기반 메뉴를 추천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았다. (짱 쉬운 기능으로) Concept 맛집 정보는 어디에서, 어떻게 가져올까? 나는 평소에 사람들이 “ㅇㅇ 맛집 찾아봐” 하면 가장 먼저 키는 게 네이버였다. (별다른 이유는 없음) 네이버에 선릉 맛집을 검색하면 다음과 같이 친절하게 알려준다. 물론 지역 기반 맛집 정보를 알려주는 수많은 웹과 앱이 있지만, 가장 귀찮을 때 쉽게 접근할 수 있었던 사이트가 네이버이기 때문에 이곳에서 맛집 정보를 긁어 ..

반응형